- Published on
컴퓨터 구조와 데이터
- Authors
- Name
- 손예지(Liv)
본 시리즈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책을 스터디 하며 남기는 기록 중 첫번째 시리즈 입니다.
컴퓨터 구조
01-2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데이터와 명령어
- CPU(중앙처리장치)
-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읽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
- ALU(=계산기), register(=CPU 내 작은 저장장치), CU(Control Unit)
- 메모리(RAM/ROM)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데이터 저장
-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함
-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로 알 수 있다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데이터 저장
- 보조기억장치
- 메모리는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내용이 날라간다
- 보관할 프로그램을 저장
- 입출력장치
-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부품
- 메인보드(=마더보드)
- 메인보드에 연결된 부품은 버스(bus)를 통해서 정보를 주고받음
- 핵심이 되는 버스는 시스템버스(system bus)
데이터
02-1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 bit :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단위
단위 | 크기 |
---|---|
1바이트(1byte) | 8bit |
1킬로바이트(1kB) | 1,000byte |
1메가바이트(1MB) | 1,000kB |
1기가바이트(1GB) | 1,000MB |
1테라바이트(1TB) | 1,000GB |
- 이진수를 음수로 표현하려면 2의 보수를 구한다
- 십육진법 - 이진법 간 변환이 쉬워 십육진법도 많이 사용한다
02-2 0과 1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 문자집합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문자의 모음
- 문자 인코딩
- 문자를 0과 1로 변환
- 문자 디코딩
-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를 사람이 이해하는 문자로 변환
- 아스키코드
- A - 65
- a - 97
- 한글 인코딩 : EUC-KR(완성형 인코딩)
- 단점 : 모든 한글조합은 포함 x
- 개선된 버전: CP949
- 표준 인코딩 방식 : unicode 문자집합
- 코드 포인트를 인코딩 하는 방식중 하나가 UTF-8
알게된점
컴퓨터 구조나 운영체제 부분은 알고는 있지만 들어서 알게된 지식이 대부분이어서 자신감이 부족했는데, 이번 스터디를 통해서 확실히 기초 지식을 다시한번 다져보려고 합니다.
문자 인코딩은 이전에 근무할 때 외부 API를 호출한 값을 저장할 때 UTF-8에서 EUC-KR로 변환하면 인코딩이 깨졌던 일이 가끔 있었는데 다시 그 때의 기억을 되살려 볼 수 있었습니다. 실제 현업에서 인코딩을 다루게 되는 경우를 생각해 봤을때, 앞선 경우 처럼 EUC-KR에 없는 값이면 값이 깨지거나 혹은 사라질 수 있어 해당 부분을 활용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