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on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 2장 : 자바 기초지식 복습
- Authors
- Name
- 손예지(Liv)
2단원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실습하기 전 알아둬야 할 자바의 기초지식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그 중 인터페이스, 리스트, 그리고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대해서 간략하게 다뤄보겠습니다.
1.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클래스에 포함하는 메서드의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하지 않고 상수와 메서드 타입만 정의한 것입니다. 인터페이스는 다른 클래스에서 구현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public abstract 접근제어자가 붙은 추상클래스 라고 불립니다. 인터페이스에서 변수를 선언할때는 public static final 한정자가 붙어 상수가 됩니다.
아래 두 예제에서 각각 선언한 인터페이스의 선언과 접근제어자는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public interface Greet {
void greeting();
}
public interface Greet {
public abstract void greeting();
}
2. 리스트
자바에서 배열을 사용하면 가변적인 값을 넣고 싶을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자바에서는 컬렉션(Collection) 클래스를 제공합니다. List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때 사용합니다. List 인터페이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현 클래스는 ArrayList와 LinkedList가 있습니다. ㅎㅎ
3. 클라이언트와 서버
책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웹에 관련된 개념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웹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개념은 식당에서 주문하는 예시였습니다.
레스토랑에 들어온 손님이 있습니다. 손님은 종업원에게 스테이크를 주문하고 종업원은 요리사에게 주문서를 전달하지요. 그러면 요리사는 스테이크 레시피에 맞게 조리합니다. 요리가 끝나면 요리사는 종업원에게 완성된 스테이크를 전달하고 종업원은 손님에게 맛있는 스테이크를 대접합니다.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 p.13)
여기서 손님의 주문을 전달하는 종업원은 웹 클라이언트(Web Client), 손님이 주문한 요리를 요리하는 요리사는 웹 서버(Web Server)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은 웹 클라이언트를 통해 웹 서버로 전달되고 처리된 요청은 다시 응답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됩니다.
참고자료:
스프링프레임워크 첫걸음, 후루네스 키노시타 마사아키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 임지영